서울 마포구 망원동을 걷고 있으면 마치 ‘보물찾기’를 하고 있는 듯한 기분이 든다. 골목골목 발길 닿는 대로 걷다 보면 ‘여기 이런 곳이?!’라는 생각이 절로 들 만큼 매력적인 곳이 많기 때문이다. 빈티지 숍, 디저트 카페, 한강공원, 망원시장까지! 봄날에 망원동을 찾았다면, 일단 걸어보자. 사람 많기로 소문난 동네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으니까.
세상에, 여행
글. 최선주 사진. 정우철
서울시 마포구에는 유독 핫한 동네가 많다. 홍대, 연남동, 합정동, 상수동···. MZ세대의 놀이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젊은이들이 좋아할 만한 요소요소를 갖췄다. 물론
망원동도 마찬가지다. 망원시장을 중심으로 골목골목마다 빈티지한 카페들과 숍, 식당이 가득해 평일, 주말을 막론하고 많은 사람이 찾고 있다.
‘망원동’이라는 이름은 동네의 상징과도 같은 ‘망원정’에서 유래됐다. 조선시대 때 성종이 이곳을 방문했다가 ‘산수 간에 경치가 잘 보인다’하여 붙인 이름이라고. 1925년에 홍수로 유실되었다가, 1991년에 복원되어
지금까지 동네를 지켜주고 있다.
지금이야 모두가 인정하는 핫한 동네가 되었지만, 사실 아주 오래전, 망원동은 주민들만 오고 가는 조용한 동네였다고 한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보다는 마을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저층 주택과 빌라의 모습에서 동네의
분위기를 감지할 수 있다. 대부분의 건물이 오래되어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1990년대 초반에는 서울의 상습 침수 지역 중 하나였기에, 토박이 주민들은 지금처럼 망원동에 사람이 많이
몰리는 상상을 할 수 없었다고 한다.
예전부터 가성비 먹거리가 많아 주민들의 밥상을 책임져 주던 망원시장은, 원래는 ‘성산시장’으로 불리던 곳이었는데, 시장이 커지면서 지금의 월드컵시장, 망원시장으로 나뉘어졌다. 이곳은 이제 망원동에 오면 꼭 들러야 하는 필수코스로 자리 잡았다. 다수의 방송과 유튜브 채널에서 여러 번 소개되면서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했기 때문이다.
시장 초입에 들어서는 순간 크로켓, 닭강정, 마시멜로 아이스크림, 호떡, 튀김, 떡갈비 등 먹거리가 너무 많아서 뭘 먹어야 할지 행복한 고민이 시작된다. 그중에서도 인기 좀 있다고 하는 가게들은 줄을 서서 대기해야 한다. 요즘은 외국인 관광객들에게까지 소문이 나서 안 그래도 붐비던 시장이 더욱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망원시장의 먹거리는 그 자리에서 바로 먹어도 좋지만, 날씨가 좋은 계절에는 포장해서 인근 한강공원으로 가는 것을 추천한다. 걸어서 10분 남짓한 거리에 자리한 망원 한강공원은 봄에는 피크닉 성지로 사랑받는 곳이니까. 돗자리와 텐트를 펼쳐 놓고 봄을 즐기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낮에는 반짝이는 윤슬을, 저녁에는 한강에 드리운 노을을 바라볼 수 있는 뷰 맛집이기도 하다.
‘4살 차이는 궁합도 안 본다!’라는 말이 있다. ‘4’ 사번 차이도 궁합을 안 본다는 말은 없지만, 망원에 함께 모인 이들 덕분에 새롭게 생길지도 모르겠다. 신보령발전본부 ‘4’ 사번 차이! ‘4’2 좋은 ‘4’인의 망원동 100배 즐기기 지금부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