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과 대화하고 싶어요~

직장인의 필수 능력
대화법

자의든, 타의든 우리는 출근하면 다양한 유형의 동료들과 대화해야 한다. 그런데 유독 대화하고 싶은 사람이 있지만, 대화하기 싫은 사람도 있다. 단순히 어휘를 잘 구사하느냐 하지 않느냐의 차이는 아니다. 말주변이 없어도 얼마든지 ‘함께 대화하고 싶은 사람’이 될 수 있다.

직장-내일

글. 편집실 참고. <직장인 대화와 화술>, <잠시도 말이 끊기지 않게 하는 대화법>

유머를 섞어서 말하자

유머는 대화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단순히 웃음을 주는 것이 아닌, 사람들 간의 관계를 형성하고 긴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래서 유머 감각이 뛰어난 사람과의 대화는 긍정적인 기억이 되고, 대화를 또 하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한다. 하지만 때와 장소에 맞지 않은 유머는 대화 분위기를 안 좋게 만들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Tip. 유머는 예상치 못했을 때 더 재밌는 법이다. 말하는 횟수를 줄이다가 기회가 생겼을 때 시도해 보자. 설령 유머가 통하지 않더라도 웃음을 강요하지는 말자.

말끝을 흐리지 말자

만약 대화 중 당신이 이야기를 너무 길게 늘어놓거나 말끝을 흐지부지 얼버무리면 상대방은 대화를 힘들게 느낄 것이다. 대화의 달인이 되려면 짧은 시간 안에 듣는 사람에게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게 분명하게 말해야 한다. 분명하게 말하면 할수록 그만큼 내용이 더 잘 이해되고 더 자신감 넘치고 세련되었다는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말 자체를 짧게 하는 것도 방법이다.

Tip. 판단하기 어렵거나 모호한 문제일 때 “~같습니다”라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표현 대신 “~라고 가정할 경우 ~하다”라고 자신 있게 이야기해 보자.

욕설, 비속어, 폭언 등을
사용하지 말자

누군가 당신에게 욕설이나 비속어를 사용한다면 그 사람과의 대화가 즐거울까? 특히 직장인이라면 더욱더 대화에 예의를 갖춰야 한다. 설령 그 대상이 당신이 아닌 제3자일지라도 비난하는 대화는 불쾌할 수 있다. “너 이거밖에 못 해?”, “그 따위로 할 거야?”, “이러니깐 네가 승진을 못하는 거야” 등 욕설은 아니지만, 조롱, 협박 등도 하면 안 된다. 직장에서 대화 중 욕설이나 폭언, 비난, 모욕, 협박, 조롱 등은 언어폭력이고 직장 내 괴롭힘이다.

Tip. 직장에서 부당하고 불합리한 상황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도 좋다. 하지만 불필요하게 과장하거나 비방이 위주라면, 상대방은 대화 내용보다 욕설이나 비어만 기억할 수도 있다.

말하기 전에 먼저 듣자

개그맨 장동민이 방송에서 유재석과의 일화를 털어놓은 적이 있다. 장동민이 힘들었을 때 유재석에게 속에 있는 이야기를 털어놓았는데, 자기 말을 한 번도 끊지 않고 다 들어주었고, 그렇게 들어준 뒤에 해준 말 덕분에 힘을 낼 수 있었다는 이야기다. 대화에서 말을 잘하는 것만큼 잘 듣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고 대단한 일인지 알 수 있다. 상대방의 말을 잘 듣지 않고, 자신의 말만 일방적으로 하는 것은 대화가 아니다. 말하기와 듣기의 주고받음이 잘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 대화인 것이다.

Tip. 일부 언어학자는 인간의 최대 집중력이 18분이라고 주장한다. 말을 많이 한다고 상대방이 다 귀담아듣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말은 양보다 밀도가 중요하다.

나는 대화의 달인일까?

과연 대화의 달인인지, 아니면 대화에 취약한 사람인지 점검해 보자.
체크한 항목이 많을수록 당신은 대화의 달인이고, 만약 체크한 항목이 적다면 대화 방법을 익히려고 노력해보자.

* 체크한 항목이 많을수록 당신은 대화의 달인일 가능성이 높아요! >_<

당신을 위한 스몰토크 주제

이야깃거리가 없어서 고민이라면, 언제 어떤 상황에든 잘 어울리는 대화 소재를 몇 개쯤 기억해두자.

#일상
일, 날씨, 건강, 계절, 예능, 뉴스, 동네, 교통
-> 누구에게나 쓸 수 있고, 짧은 대화에 좋다.
#공통점
나이, 세대, 출신지, 거주지, 친구, 지인, 가족 구성
-> 친근감을 주는 소재
#음식
음식, 음식점, 지역별 유명 음식, 음식 프로그램
-> 의외로 신나는 주제
#칭찬
패션, 소질, 성격, 건강, 가족
-> 칭찬을 마다할 사람은 없다!
#전문 분야
전공, 직업, 취미, 특기
-> 상대가 자랑하고 싶은 주제
#즉흥 소재
주변 물건, 사람, 풍경, 사건
-> 대화 소재가 떨어졌을 때도 무한 리필 할 수 있다.